티스토리 뷰
목차
1. 결핵의 원인
결핵(tuberulosis)은 Mycobacterium turberculosis에 의해 생기는 전염성이 높은 질환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결핵발생률이 가장 높게 보고되고 있어 결핵의 예방과 치료 및 지속적인 사회적 감시가 필요합니다. 결핵균은 비말감염을 통해 발생하는데, 감염된 사람의 기침 등으로 인해 비말핵이 공기 중에 Ejeslek가 타인에게 흡입됩니다. 결핵균은 신체 어느 부위에나 발병할 수 있으나, 결핵균의 감수성이 강한 기관지 또는 폐포에 도달했을 때 자유롭게 번식하기 때문에 폐에 가장 큰 영향을 줍니다. 결핵균에 노출된 대부분의 경우 활동성 결핵으로 발전하지는 않습니다. 비활동성 결핵이라도 결핵균은 평생 동안 체내에 잠복합니다. 감염자가 예방적 isoicotinylhydrazide(INH)를 투여받지 않는 경우, 면역력 저하나 스트렛 상승 등을 원인으로 비활동성 결핵균이 활동적인 번식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일수록 결핵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며, 흡연이나 알코올 남용, 영양 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도 결핵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결핵의 증상
결핵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신증상으로 식욕부진, 체중감소, 피로, 미열, 야간 발한 등이 나타납니다.
⦁ 폐결핵은 대개 만성질환으로 발현하며 수 주 내지 수개월에 걸쳐 증상이 나타납니다.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증상이 없다가 우연히 X-ray 상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화농성 객담을 배출하며 진행됨에 따라 객혈을 하기도 합니다.
⦁ 결핵성 늑막염의 증상은 늑막에 물이 차서 호흡곤란과 흉통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기관지 결핵의 증상은 천식처럼 호흡곤란과 쌕쌕거리는 숨소리가 나타납니다.
⦁ 림프선 결핵의 증상은 목 주위의 림프선이 붓습니다.
3. 결핵의 진단 방법
결핵의 진단은 여러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Tuberculin skin test (투베르쿨린 피부 검사): 일정량의 결핵균 항원을 피부에 주사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반응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혈액 검사 : 결핵균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흉부 X-ray : 폐에 결핵으로 인해 생긴 이상을 확인합니다.
가래 검사 : 가래를 채취하여 결핵균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3. 치료와 간호
결핵 치료는 일반적으로 항결핵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치료는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합니다.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약물 치료 : 주로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 에탐부톨 등 여러 약을 조합하여 사용합니다.
외과적 치료 :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핵 치료는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며, 중단하지 않아야 합니다. 치료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전염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항결핵제는 1차, 2차, 3차 약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다양하지 않습니다. 항결핵제는 규칙적, 지속적으로 복용하지 않으면 약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며 치료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환자들에게 처방대로 규칙적으로 약물을 복용하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1차 약은 isoniazid(INH), rifampin(RFP), ethambutol(EMB), streptomycin(SM)등으로 이들 약물의 병합요법 시 세균을 최대한 빨리 파괴하고 약물에 대한 내성도 최소화시킵니다.
⦁ 2차 약에는 cycloserine, kanamycin, paraamino salicyic acid(PAS) 등이 있습니다. 2차 약은 효능이 더 적고 부작용도 많기 때문에 대개 1차 약과 함께 사용합니다. 결핵균은 한 가지 단일 약제에 대해서는 내성이 쉽게 생기므로 병합요법이 효과가 큽니다.
⦁결핵은 소모성 질환이므로 고단백, 칼슘과 비타민 B, C, D를 섭취하게 하며 특히 비타민 C의 섭취를 증가시킵니다.
⦁ 항결핵제는 환자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6~9개월간 복용하며, 약의 흡수를 최대화시키기 위해 아침 공복에 복용합니다.
⦁ 약물이 균에 대한 감염억제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2~4주마다 객담 검사를 하여 3회의 객담 배양 검사 결과 음성이면 전염성이 없다고 판단합니다.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입과 코를 가리고 사용한 휴지는 소각해 버립니다.
⦁ 야간 발한이 심할 때는 의복을 자주 갈아 주고 피부간호를 수행합니다.
⦁ 환자가 사용한 그릇이나 의복은 정상인 것과 분리하여 특별한 처리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 내과적 치료가 성공적이지 못할 때 폐절제술을 시행합니다.
4. 예방 및 관리
결핵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필요합니다.
BCG 백신 접종 : 결핵 예방을 위한 백신입니다.
주기적인 건강 검진 : 특히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환경 관리 : 환자의 격리와 실내 환기, 청소를 통해 감염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공중위생의 개선과 항결핵제의 발달로 유병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빈민층, 노숙자, AIDS 환자, 결핵균의 내성증가 등으로 결핵예방과 조절에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은 결핵 환자를 반복적으로 접촉하였거나, 소아의 경우에는 BCG 접종이 필요합니다. 결핵은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로 완치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 따라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핵 예방과 관리를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결핵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이를 이해하고 예방하며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핵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지식을 통해 나와 주변의 건강을 지키는 데 힘쓰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