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망막박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망막박리는 눈의 망막이 제자리에 붙어 있지 않고 떨어져 나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상태는 시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망막박리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예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망막박리. 눈의 구조 사진

     

    1. 망막박리(retinal detachment) 란?

     

    망막과 맥락막의 찢어짐이나 분리로 시력장애가 나타나며 50~70세 사이에 가장 흔합니다. 망막박리는 망막이 눈의 뒤쪽에서 떨어져 나가는 상태를 말합니다. 망막은 빛을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망막이 제자리에 붙어 있지 않으면 시각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시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망막박리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중 일부는 유전적 요인이나 외부 충격에 의한 것일 수 있습니다.

     

    2. 원인

     

    망막박리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노화, 백내장제거, 망막 퇴화, 외상, 고도 근시, 가족적 소인 등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노화 : 나이가 들면서 유리체가 수축하고 망막에 압력을 가해 박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외상 : 눈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망막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 : 가족력이 있는 경우 망막박리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기타 질환 : 당뇨병, 고혈압 등과 같은 만성 질환이 망막박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증상

     

    부유물(시야 내에 불규칙적인 검은색 선이나 점), 섬광, 흐린 시야(blurred vision), 점진적 시력황폐, 눈아페 커튼을 드리운 것 같은 시야장애, 황반이 침범하면 중심시 상실 등이 나타납니다.

     

    빛 번짐 : 눈앞에 빛이 번쩍이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시야의 변화 : 시야의 일부가 가려지거나 왜곡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두운 그림자 : 시야의 한쪽에 어두운 그림자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시력 저하 : 점차적으로 시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안과 전문의를 찾아야 합니다.

    4. 치료

     

    수술은 전신마취를 하며 망막과 맥락막을 붙여서 혈액과 영양공급이 재수립되도록 합니다. 망막박리는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술 : 대부분의 경우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 방법에는 망막을 다시 제자리에 고정하는 방법이 포함됩니다.

    레이저 치료 : 망막의 박리가 국소적일 경우 레이저 치료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주사 치료 : 특정 약물을 주사하여 망막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므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1) 망막박리 수술

     

    ① 공막 버클링(buckling): 이물편을 공막 밖이나 안에 넣어 맥락막을 밀착시켜 망막과의 유착을 시킵니다.

    ② Cicling 방법: 박리된 망막을 실라스틱밴드로 안구주위를 단단하게 조여 유착시킴

    ③ 유리체내 공기나 액체주입: 유리체내에 공기나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안구내압력을 증가시켜 망막유착 도모합니다. ④ 망막하수액 배출과 맥락막염유도: 망막밑에 수액을 배액후 열요법. 냉동요법(-20~-50°C), 레이저광응고법으로 무균성맥락염을 일으켜 망막을 맥락막에 재유착 시킵니다.

    2) 수술 전 간호

     

    발견 즉시 절대안정과 양안붕대로 손상의 진행을 막습니다. 환자는 활동제한과 수술에 대한 걱정으로 긴장하므로 심리간호를 제공합니다. 환자체위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보통 박리된 부위가 인체에서 가장 낮은 위치가 되도록 취해줍니다.

    머리를 갑자기 움직이거나 안압상승을 유발할만한 행동은 금하며, 침대난간은 올리고 호출 벨은 환자의 손 가까이 둡니다.

     

    3) 수술 후 간호

     

    공막 buckling후에는 항생제를 점안하고 패드와 플라스틱 안대로 압박 드레싱을 합니다. 수술 후 48시간 이내에는 오심, 구토, 통증경감을 위해 진토제와 진통제를 투여합니다.

     

    산동제, 항생제, 스테로이드 점안약이 투여되며, 눈꺼풀부종이 있으면 냉찜질을 합니다. 환자체위는 특별한 지시가 없으면 박리된 위치에 따라 앙와위나 수술한 쪽으로 눕도록 합니다.

     

    환자가 마취에서 회복되면 침상안정을 하되 화장실 출입은 허용합니다. 수술 후 2일부터 일상활동을 허용하며, 보통 수술 4~5일에 퇴원하고 퇴원 후에 통증경감을 위해 진통제와 냉찜질을 하고 보행이 가능합니다.

     

    퇴원 후 산동제 투여 시는 선글라스를 끼도록 하고 밝은 빛에 노출을 금합니다. 텔레비전 시청은 허용하나 독서는 2, 3주까지 금하고 가벼운 일은 수술 3주 후에, 충분한 활동은 6주 후에 가능합니다.

     

    특히 머리를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시키고,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에도 허리를 구부리지 않도록 합니다. 퇴원 후 방침은 환자 상태에 따라 상세하고 철저하게 의사의 지시를 확인하여 알려주고 금하는 활동과 권하는 활동을 분명하게 알려줍니다.

    5. 망막박리의 예방

     

    망막박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 :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아 조기에 문제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눈 보호 : 외부 충격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생활습관 : 균형 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망막박리는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할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치료 성공률은 80~90% 정도이며, 조기에 치료할수록 효과가 좋습니다. 망막박리는 심각한 안질환이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전문의의 질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